2025년 들어 가계부실 위험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경제 지표가 아니라, 우리 가정의 부채 건전성을 판단하고 향후 금융위험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가계부실 위험지수가 무엇인지, 어떤 기준으로 산출되는지, 2025년 현재 상황은 어떤지, 그리고 본인의 위험 수준을 체크할 수 있는 계산기까지 함께 제공해 드립니다.
🔍 가계부실 위험지수란?
가계부실 위험지수(Household Debt At-Risk Index)란, 전체 가계 중에서 대출 상환이 어려운 위험 가구의 비율을 수치화한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금융당국은 DSR이 70% 이상이거나 연체율이 높은 가계를 위험군으로 분류합니다.
이 지수는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통계청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되며, 국가의 금융안정성 지표로도 활용됩니다.
---
🧾 주요 산정 기준
-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의 비율
- 연체율: 대출금을 90일 이상 갚지 못한 가구 비율
- 이자 상환 부담률: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증가율
- 부채 대비 자산 비율: 순자산의 건전성
---
📊 2020~2025년 가계부실 위험지수 추이
아래는 최근 6년간 위험지수의 변화입니다. 2025년에는 위험군 비율이 18.3%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2020년: 10.2%
- 2021년: 11.5%
- 2022년: 13.8%
- 2023년: 15.9%
- 2024년: 17.4%
- 2025년: 18.3%
이처럼 지속적인 상승세는 금리 인상, 소득 정체, 주택담보대출 증가 등 복합 요인 때문입니다.
---
⚠️ 위험지수 상승의 경제적 영향
1. 가계에 미치는 영향
- 신용등급 하락
- 추가 대출 제한 및 금융 불이익
- 생활비 부족, 자산 매각 등 위기 상황 발생
2.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
- 금융권 부실채권 증가
- 가계소비 위축 → 경기 둔화
- 부동산 시장 위축 및 금융시스템 불안정성 확대
---
🧮 DSR 계산기로 내 위험도 확인해보세요
본인의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계산해보고, 위험군 해당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 DSR 70% 이상: 고위험군
- DSR 50~70%: 경계 필요
- DSR 50% 미만: 양호
📥 아래 링크에서 DSR 계산기를 다운로드 받아 직접 입력해 보세요:
👉 DSR 계산기 다운로드 (.xlsx)
---
📘 용어 요약
용어 | 설명 |
---|---|
DSR | 총소득 대비 전체 대출의 원리금 상환 비율 |
DTI | 총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비율 |
연체율 | 90일 이상 상환 지연 중인 대출 비율 |
위험군 | DSR 70% 이상 또는 연체 위험이 높은 가구 |
---
✅ 마무리
가계부실 위험지수는 우리 경제의 체력 지표입니다. 지수가 높아질수록 가계는 물론 금융시장 전체의 위험도도 상승하게 됩니다.
📌 지금 당장 DSR을 점검해보고, 소득 대비 부채 규모를 조절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안정적인 재무 설계와 계획적인 대출 관리가 위기에서 당신을 지켜줄 것입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투자 성향 분석 가이드|유형별 투자 전략 한눈에 보기 (0) | 2025.07.24 |
---|---|
📱 2025년 단통법 폐지|소비자가 꼭 알아야 할 변화 총정리 (0) | 2025.07.24 |
🌧️ 2025년 집중호우와 특별재난지역|선정 기준부터 주민 지원 혜택까지 총정리 (1) | 2025.07.23 |
🚓 2025년 속도위반 과태료·범칙금 완벽 정리 (0) | 2025.07.23 |
🚗 하이패스 선불 vs 후불, 어떤 게 더 유리할까? (0) | 202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