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 재산세 계산하는 방법|2025년 기준 공식과 예시 정리

by moneytime123 2025. 7. 25.
반응형

매년 여름과 가을이면 도착하는 납부 고지서, 바로 재산세입니다.
재산세는 부동산을 보유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내야 하는 세금이지만, 계산 방식이나 납부 시기가 헷갈리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재산세 계산 방법, 세율, 공정시장가액비율, 납부기한

까지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 재산세란?

재산세는 주택, 건축물, 토지 등 부동산을 보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과세 기준일인 매년 6월 1일 현재 소유자에게 부과되며, 해당 지자체에 납부합니다.

  • 📅 과세 기준일: 매년 6월 1일
  • 📩 고지 시기: 7월, 9월 (대상별 상이)
  • 🏦 납부처: 위택스, 전국 은행, 스마트 위택스 앱

🧮 재산세 계산 공식

재산세 =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 세율

✅ 계산 순서

  1. 1) 공시가격 확인: 국토교통부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2. 2) 공정시장가액비율 적용 (주택: 60%)
  3. 3) 과세표준 도출
  4. 4) 누진 세율 적용
  5. 5) 감면 및 추가세 적용 (지방교육세, 지역자원시설세 등)

📊 2025년 주택 재산세 세율표

과세표준 구간 세율
6,000만 원 이하 0.1%
6,000만 원 초과 ~ 1억5,000만 원 이하 0.15%
1억5,000만 원 초과 0.25%

📌 공정시장가액비율: 주택은 60%, 토지는 100% (2025년 기준)


📘 계산 예시

공시가격 2억 원인 아파트를 소유한 경우:

  • ① 과세표준 = 2억 × 60% = 1억2,000만 원
  • ② 세율 = 0.15%
  • ③ 재산세 = 1억2,000만 원 × 0.15% = 18만 원

여기에 지방교육세 (재산세의 20%)지역자원시설세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 2025년 재산세 납부기한 상세 정리

재산 항목 납부 시기 비고
🏠 주택 1기분: 7월 16일 ~ 31일
2기분: 9월 16일 ~ 30일
세액 20만 원 이하는 7월에 일괄 부과
🏢 건축물/선박 7월 16일 ~ 31일 1회 납부
🏞️ 토지 9월 16일 ~ 30일 1회 납부

💡 납부 방법

  • 💻 위택스, 서울시 이택스
  • 📱 스마트 위택스 앱 / 카카오톡 '지방세' 알림톡
  • 🏦 은행 CD/ATM, 가상계좌 이체

🧾 1세대 1주택 감면 제도 (요약)

  • 공시가격 9억 원 이하 → 최대 50% 세액 감면
  • 고령자, 장기보유자 → 최대 80% 감면 (중복 감면 가능)
  • 기초수급자, 국가유공자 등은 지자체 감면 대상

※ 일부 감면은 신청이 필요하며, 자동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재산세는 매년 반복되는 고정 지출입니다.
공시가격과 세율 구조, 납부 시기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다면 예상 세금 계획을 미리 세우고 감면 제도도 챙길 수 있습니다.

특히 주택 소유자는 7월과 9월 두 번에 걸쳐 재산세가 부과되므로, 납부 일정을 반드시 체크해두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