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법 (2025년 기준, 세금공제 포함 완벽 가이드)

by moneytime123 2025. 8. 1.
반응형

많은 직장인들이 입사 전, 혹은 이직을 앞두고 **“세전 월급이 300만 원이면 실제로 얼마를 받게 될까?”**라는 궁금증을 갖습니다.
이는 세금과 4대 보험료 등이 공제된 후의 실수령액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법공제 항목별 설명, 그리고 실제 예시까지 자세히 안내해드립니다.


✅ 실수령액이란?

실수령액은 회사에서 발표한 **세전 급여(기본급 + 수당)**에서 각종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을 제외한 후 실제 통장에 입금되는 금액입니다.


🔍 실수령액에서 공제되는 항목

항목내용
국민연금 소득의 4.5% (근로자 부담)
건강보험 소득의 3.545% (근로자 부담, 장기요양 포함)
고용보험 0.9% (2025년 기준)
소득세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 적용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예: 세전 월급 3,000,000원 기준으로 약 250,000원 내외의 공제가 발생합니다.


🧮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 방법

👉 추천 사이트: 네이버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 절차:

  1. 세전 월급 입력 (예: 3,000,000원)
  2. 근로자 유형 선택 (정규직 / 계약직 / 일용직 등)
  3. 가족 수, 부양가족 수, 비과세 수당 여부 선택
  4. 자동 계산 버튼 클릭
  5. 공제 항목별 내역 + 실수령액 확인

📊 실수령액 계산 예시 (2025년 기준)

  • 세전 월급: 3,000,000원
  • 1인가구 / 비과세 없음 / 정규직 기준
항목금액(원)
국민연금 135,000
건강보험 106,350
장기요양보험 13,020
고용보험 27,000
소득세 26,190
지방소득세 2,610
총 공제액 310,170
실수령액 2,689,830
 

💡 회사마다 급여 항목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계산기는 참고용으로 활용하세요.


📎 실수령액 계산 꿀팁

  • 비과세 수당 포함 여부 확인 (식대, 교통비 등 일부 비과세 항목은 공제 대상 아님)
  • 가족 수가 많을수록 소득세가 줄어듭니다.
  • 연말정산 결과에 따라 실제 연간 실수령액과 다소 차이 날 수 있음

📲 모바일에서도 계산 가능!

  • 네이버 앱 > 검색창에 ‘실수령액 계산기’ 입력
  • 간단한 선택으로 바로 실수령액 확인 가능
  • 카카오페이, 토스 등 금융앱에서도 비슷한 기능 지원

✅ 마무리

실수령액은 단순히 급여 총액만 보고는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공제 항목을 정확히 이해하고, 실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하면 내 월급의 진짜 가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실수령액 계산하러 가기 (네이버 계산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