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많은 직장인들이 입사 전, 혹은 이직을 앞두고 **“세전 월급이 300만 원이면 실제로 얼마를 받게 될까?”**라는 궁금증을 갖습니다.
이는 세금과 4대 보험료 등이 공제된 후의 실수령액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법과 공제 항목별 설명, 그리고 실제 예시까지 자세히 안내해드립니다.
✅ 실수령액이란?
실수령액은 회사에서 발표한 **세전 급여(기본급 + 수당)**에서 각종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을 제외한 후 실제 통장에 입금되는 금액입니다.
🔍 실수령액에서 공제되는 항목
항목내용
국민연금 | 소득의 4.5% (근로자 부담) |
건강보험 | 소득의 3.545% (근로자 부담, 장기요양 포함) |
고용보험 | 0.9% (2025년 기준) |
소득세 |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 적용 |
지방소득세 | 소득세의 10% |
예: 세전 월급 3,000,000원 기준으로 약 250,000원 내외의 공제가 발생합니다.
🧮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 방법
👉 추천 사이트: 네이버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 절차:
- 세전 월급 입력 (예: 3,000,000원)
- 근로자 유형 선택 (정규직 / 계약직 / 일용직 등)
- 가족 수, 부양가족 수, 비과세 수당 여부 선택
- 자동 계산 버튼 클릭
- 공제 항목별 내역 + 실수령액 확인
📊 실수령액 계산 예시 (2025년 기준)
- 세전 월급: 3,000,000원
- 1인가구 / 비과세 없음 / 정규직 기준
항목금액(원)
국민연금 | 135,000 |
건강보험 | 106,350 |
장기요양보험 | 13,020 |
고용보험 | 27,000 |
소득세 | 26,190 |
지방소득세 | 2,610 |
총 공제액 | 310,170 |
실수령액 | 2,689,830 |
💡 회사마다 급여 항목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계산기는 참고용으로 활용하세요.
📎 실수령액 계산 꿀팁
- 비과세 수당 포함 여부 확인 (식대, 교통비 등 일부 비과세 항목은 공제 대상 아님)
- 가족 수가 많을수록 소득세가 줄어듭니다.
- 연말정산 결과에 따라 실제 연간 실수령액과 다소 차이 날 수 있음
📲 모바일에서도 계산 가능!
- 네이버 앱 > 검색창에 ‘실수령액 계산기’ 입력
- 간단한 선택으로 바로 실수령액 확인 가능
- 카카오페이, 토스 등 금융앱에서도 비슷한 기능 지원
✅ 마무리
실수령액은 단순히 급여 총액만 보고는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공제 항목을 정확히 이해하고, 실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하면 내 월급의 진짜 가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실업급여 신청방법, 한 번에 정리! (0) | 2025.08.02 |
---|---|
😵 소비에도 심리학이 있다? 베블런 · 스놉 · 밴드왜건 효과 (1) | 2025.08.02 |
📱비대면 계좌개설 & 여신 차단거래 안심서비스 신청 방법 (2025년 최신 가이드) (3) | 2025.08.01 |
📚 경기도 독서포인트제, 책 읽고 지역화폐 받자! (1) | 2025.08.01 |
🎓 2025 대학생 체크카드 추천 TOP 3 – 교통·카페·배달 혜택 총정리! (1)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