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투자, 숫자를 모르면 위험하다
주식을 처음 시작하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벽은 재무제표와 투자 지표입니다. PER, PBR, ROE, EV/EBITDA 같은 용어가 당연한 듯 등장하지만, 초보자에겐 낯설고 어려울 수 있죠. 이 글에서는 주식 투자에서 자주 사용되는 핵심 지표 4가지를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합니다.
1️⃣ PER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 PER이란?
PER은 기업의 현재 주가가 기업의 수익(이익)에 비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PER 해석법
- PER이 낮다 → 이익 대비 주가가 낮다 = 저평가 가능성
- PER이 높다 → 이익 대비 주가가 높다 = 고평가 가능성
단, 성장성 높은 기업은 PER이 높을 수 있으며, 적자 기업은 PER이 계산되지 않습니다.
2️⃣ PBR (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 PBR이란?
PBR은 기업의 장부상 순자산(자본)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 PBR 해석법
- PBR = 1: 장부상 가치와 주가가 동일
- PBR < 1: 자산보다 싸게 거래 중 = 저평가 가능
- PBR > 1: 브랜드, 성장성 등 무형 가치를 시장이 인정
3️⃣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 ROE란?
ROE는 주주가 투자한 자본으로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수익성 지표입니다.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ROE 해석법
- ROE가 높다 → 자본 효율성이 좋고 경영이 우수
- ROE가 낮다 → 자본을 비효율적으로 운영 중
PER이 낮고 ROE가 높다면? → 수익성 좋은 저평가 기업일 가능성 있음
4️⃣ EV/EBITDA (기업가치 대비 상각전영업이익 배수)
✔ EV/EBITDA란?
기업 전체 가치(EV)가 영업 현금 창출력(EBITDA)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EV/EBITDA = (시가총액 + 순차입금) ÷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 해석법
- 낮을수록 기업가치 대비 수익성이 높음 = 저평가 가능성
- 높을수록 고평가 상태일 수 있음
✅ 네 가지 지표 비교 요약
지표 | 의미 | 낮을수록 | 높을수록 | 주 용도 |
---|---|---|---|---|
PER | 주가 / 이익 | 저평가 가능성 | 고평가 가능성 | 수익성 평가 |
PBR | 주가 / 자산 | 저평가 가능성 | 브랜드 가치 반영 | 자산 기반 평가 |
ROE | 이익 / 자기자본 | 효율 낮음 | 경영 효율 우수 | 수익성 분석 |
EV/EBITDA | 기업가치 / 현금이익 | 저평가 가능성 | 고평가 가능성 | 기업 인수 및 비교 |
💬 마무리: 숫자에 강한 투자자가 성공한다
PER, PBR, ROE, EV/EBITDA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기업의 건강 상태와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익숙해지면 좋은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을 구분하는 나침반이 되어줄 것입니다. 차근차근 배워가며, 숫자 속에 숨은 기업의 진짜 가치를 파악해보세요.
반응형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회계? 생각보다 쉽고 재밌다! 회계 초보를 위한 꼭 알아야 할 회계용어 10가지 (0) | 2025.07.12 |
---|---|
📘 재무제표 읽는 법: 주식 투자자와 사업가를 위한 필수 가이드 (0) | 2025.07.12 |
사업자 등록 하는 법: 처음 시작하는 사람을 위한 완벽 가이드 (0) | 2025.07.11 |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추천 TOP 7 – 블로그 운영에 꼭 필요한 필수 플러그인 (0) | 2025.07.11 |
워드프레스 블로그 기본 설정 완벽 가이드 (0) | 202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