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I가 이끄는 ICT 실적 반등…반도체·통신·인터넷 모두 웃었다

by moneytime123 2025. 8. 17.
반응형

2025년 상반기,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각종 악재 속에서도 반도체·통신·인터넷 업계는 AI(인공지능) 사업 성장에 힘입어 호실적을 거뒀습니다. AI 메모리와 데이터센터, 개인화 서비스가 매출 상승의 핵심 동력이었습니다.


반도체 – HBM 열풍, SK하이닉스 세계 1위 등극

  • SK하이닉스
    • 상반기 매출 39조 8,710억 원(+38.18%), 영업이익 16조 6,533억 원(+99.33%)
    • 2분기 영업이익률 약 41%, 사상 최대 실적
    • HBM(고대역폭 메모리) 매출 비중 77%, DDR5·eSSD 출하량 확대
    • 글로벌 메모리 매출 점유율에서 삼성전자 제치고 처음으로 1위(36.2%)
  • 삼성전자
    • 상반기 매출 153조 7,068억 원(+5.29%), 영업이익 11조 3,613억 원(-33.36%)
    • 고용량 DDR5, HBM3E, 서버용 SSD 판매가 DS부문 매출을 견인

통신 – AI 데이터센터·B2B 서비스 성장

  • SK텔레콤
    • AI 데이터센터 매출 1,087억 원(+13.3%)
    • AI 전환(AIX) 매출 468억 원(+5.4%)
    • AI 에이전트 ‘에이닷’ 가입자 1,000만 명 돌파
  • KT
    • 상반기 매출 7조 4,300억 원(+8.1%), 영업이익 1조 원 이상(+70.3%)
    • AI 기업서비스 매출 +4.6%, KT클라우드 매출 +23%
  • LG유플러스
    • 매출 +7.4%, 영업이익 +17.9%
    • AI 컨택트센터(AICC)·챗봇 도입으로 비용 절감, IDC 매출 +5%

인터넷 – AI 개인화로 플랫폼·쇼핑 성장

  • 네이버
    • 상반기 매출 3조 3,227억 원(+13.1%), 영업이익 9,736억 원(+7.7%)
    • AI 기반 검색·광고 매출 상승
      • 서치플랫폼 +5.9%
      • 광고 +8.7%
      • 쇼핑 +19.8%
    • 생성형 AI 브리핑 월 이용자 3,000만 명 돌파, 쇼핑 AI 에이전트 출시 예정

종합 – AI, ICT 산업의 핵심 성장 엔진

  • 반도체: AI 메모리 수요 폭발, 글로벌 시장 판도 변화
  • 통신: AI 데이터센터·B2B 서비스로 매출 다각화
  • 인터넷: 개인화 서비스로 이용자 경험·매출 동반 성장

전문가들은 하반기에도 AI 수요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AI 기술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기업 생존과 성장의 필수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