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경제

두산에너빌리티(034020) 주가·재무분석 (2025년 9월 4일 기준)

by moneytime123 2025. 9. 5.
반응형

국내 대표 에너지·플랜트 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Doosan Enerbility)**가 원전, 신재생에너지, 가스터빈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5년 9월 4일 KRX 장마감 기준 주가와 주요 재무 지표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 주가 현황 (2025.09.04 기준)

  • 종가: 63,500원 (+1,100원, +1.76%)
  • 시가: 63,300원
  • 고가: 64,500원
  • 저가: 62,400원
  • 거래량: 7,530,638주
  • 거래대금: 약 4,793억 원

👉 전일 종가(62,400원) 대비 1.76%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최근 원전 관련 호재와 글로벌 수주 기대감이 주가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 투자자 매매 동향

  • 외국인 순매수: +336,457주
  • 기관 순매수: +145,974주
  • 개인 투자자 비중: 상대적으로 매도 우위

최근 5거래일간 흐름을 보면, 외국인과 기관의 매매가 교차하면서 단기 순매수세 전환이 눈에 띕니다. 이는 원전·SMR(소형모듈원자로) 글로벌 시장 진출 기대감과 맞물려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 재무 실적 분석 (IFRS 연결 기준)

최근 연간 실적

  • 2024년 매출액: 16조 2,331억 원
  • 2024년 영업이익: 1조 176억 원
  • 2024년 순이익: 3,947억 원
  • 2025년 전망치(E): 매출 16조 7,758억 원 / 영업이익 1조 818억 원 / 순이익 4,584억 원

최근 분기(2025.06) 실적

  • 매출액: 4조 5,690억 원
  • 영업이익: 2,711억 원
  • 순이익: 1,978억 원
  • 영업이익률: 5.93%
  • 순이익률: 4.33%

📌 특징:

  • 분기별 실적이 다소 변동적이지만, 올해 2분기(2025.06)는 영업이익률 5% 이상을 회복하며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부채비율(126%대), 당좌비율(82% 수준) 등 재무안정성 지표도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모습입니다.

🏭 업종 내 비교 (2025.06 기준)

종목명현재가(원)매출액(억)영업이익(억)순이익(억)PER(배)PBR(배)
두산에너빌리티 62,800 45,690 2,711 1,978 -376.05 5.31
현대로템 204,500 14,176 2,576 1,895 37.30 8.26
레인보우로보틱스 279,500 62 -21 -5 3,629.87 41.26
두산밥캣 52,900 22,371 2,076 1,237 12.33 0.76
두산로보틱스 61,500 45 -156 -166 -71.18 10.57

👉 두산에너빌리티는 업종 내 매출 규모가 압도적이지만, PER과 PBR은 높게 형성되어 있어 시장의 성장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 투자 포인트

  1. 원전·SMR 수주 모멘텀: 글로벌 원전 확대 기조 속 두산에너빌리티의 핵심 기술력 부각.
  2. 신재생에너지·수소사업: 풍력·수소터빈 등 차세대 에너지 시장 진출.
  3. 재무구조 개선: 부채비율 안정화와 함께 이익률 점진적 회복.
  4. 외국인·기관 순매수: 최근 매수세 유입은 긍정적 투자 심리 반영.

✅ 결론

2025년 9월 4일 기준, 두산에너빌리티는 63,500원에 거래를 마감하며 에너지·원전 관련 대표주로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재무구조가 점차 개선되고 있으며, SMR·글로벌 원전 수주 기대감이 중장기 성장 모멘텀을 제공할 가능성이 큽니다.

👉 다만 PER·PBR이 높아 밸류에이션 부담도 존재하므로, 단기 변동성 관리와 장기 성장 가능성을 함께 고려한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