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경제

대체거래소 규제 유예, 700개 종목 거래 체제로 안착할까?

by moneytime123 2025. 9. 5.
반응형

최근 금융당국이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NXT) 의 거래 한도 규제를 한시적으로 유예하면서, 국내 자본시장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전환점이 마련됐습니다. 이미 거래 종목 수가 800개에 달하면서 한도를 초과하던 상황에서, 이번 조치는 투자자 불편 최소화시장 안정성 확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담고 있습니다.


📌 대체거래소란?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는 기존 한국거래소(KRX)에 의존하던 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거래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올해 3월 출범했습니다. 넥스트레이드는 출범 초기부터 거래량이 급증하며 글로벌 기준으로도 이례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해 왔습니다.

  • 시장 전체 한도: KRX 거래량의 15% 이내
  • 종목별 한도: 기존 30% 이내 (이번에 100% 미만으로 조정)

📉 규제 유예 배경

넥스트레이드는 출범 5개월 만에 거래 종목이 800개를 넘어서며 **시장 점유율 20%**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규제 한도를 초과하는 종목이 523개(전체의 73%)에 달하면서, 당국은 원칙대로라면 이들 종목의 거래를 전면 중단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 그러나 그렇게 될 경우 투자자 불편과 시장 혼란이 불가피해 금융위는 최대 1년 한시 유예를 결정했습니다.


⚖️ 이번 조치의 핵심

  1. 종목별 한도: 기존 30% → 100% 미만으로 완화
  2. 시장 전체 한도: 한국거래소의 15% 이내 → 유지
  3. 거래 종목 수: 800개 → 700개로 축소

현재 넥스트레이드는 714개 종목으로 운영 중이며, 이미 점유율을 15% 이하로 안정적으로 낮춘 상태입니다.


📊 시장 반응과 효과

  • 종목 축소 직후 점유율은 **14.6% → 11% → 8.6%**까지 하락
  • 당국이 제시한 700개 종목 체제가 정착되면 한도 준수는 무난할 것으로 예상
  • 다만, 거래량이 많은 인기 종목이 중지 대상에 포함돼 투자자 불만이 일부 발생

🔮 향후 전망

전문가들은 이번 유예 조치가 단순한 규제 완화가 아니라 대체거래소 제도의 안정화 과정으로 보고 있습니다.

  • 📌 긍정적 측면: 투자자 선택권 확대, 한국거래소와의 공정 경쟁 구조 마련
  • 📌 우려되는 측면: 거래 종목 축소로 일부 종목의 유동성 위축 가능성

넥스트레이드는 오는 10월까지 거래량 예측·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매월 관리 현황을 금융감독원에 보고해야 합니다.


✅ 정리

이번 규제 유예는 단기적으로는 시장 혼란을 줄이는 긍정적인 조치로 평가됩니다.
앞으로 700개 종목 거래 체제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는다면, 대체거래소가 한국 자본시장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