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경제

상속세 vs 증여세 차이와 계산 방법 한눈에 보기

by moneytime123 2025. 8. 18.
반응형

1. 상속세

정의
사망을 원인으로 재산이 상속인이나 수유자에게 무상으로 이전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납세 의무자

  • 상속 재산을 받는 상속인
  • 유언·사인증여로 재산을 받는 수유자

과세 대상

  • 국내외 모든 재산(금전, 부동산, 주식, 보험금 등)
  • 공과금·장례비용·채무는 상속재산에서 차감

계산 절차

  1. 총상속재산가액 산출
  2. 비과세·공제 대상 제외
  3. 기초공제 등 각종 공제 적용
  4. 과세표준에 세율(10~50%) 적용
  5. 세대생략 상속 시 할증세(30~40%) 적용

2. 증여세

정의
생전에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무상으로 받을 경우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납세 의무자

  • 재산을 받은 수증자가 원칙
  • 일부 해외 재산의 경우 증여자가 납부 의무를 가질 수 있음

과세 대상

  • 현금, 부동산, 유가증권, 무형재산권 등 모든 형태의 재산
  • 시가보다 현저히 낮은 대가로 이전받은 경우 포함
  • 타인 재산 가치의 증가에 따른 이익도 포함

계산 절차

  1. 증여재산가액 산출
  2. 비과세 항목과 채무 공제
  3. 10년 이내 동일인으로부터 받은 재산 합산
  4. 증여재산공제·재해손실공제 등 적용
  5. 과세표준에 세율(10~50%) 및 할증세 적용

3. 주요 차이점 비교

구분상속세증여세
시점 사망 시 재산 이전 생전 재산 이전
납세자 상속인 또는 수유자 수증자(상황에 따라 증여자)
과세 범위 국내외 전 재산 10년 내 동일인 증여 합산
세율 10~50% + 세대생략 할증 10~50% + 할증

4. 절세 포인트

  • 상속·증여 시 공제 한도와 적용 요건을 사전에 확인
  • 10년 단위 증여 합산 규정을 활용해 세 부담 분산
  • 상속 개시 전 재산 분할·증여 계획을 세워 과세표준을 낮추는 전략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