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경제

한국 증시 양자컴퓨팅주 장중 급등…미국발 호재가 촉발한 이유

by moneytime123 2025. 9. 21.
반응형

2025년 9월 18일, 한국 증시에서 양자컴퓨팅 관련주들이 장중 일제히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습니다. 특히 일부 종목은 상한가에 도달하면서 단숨에 테마의 중심으로 떠올랐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급등세의 배경은 무엇일까요? 미국 시장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그리고 향후 전망과 투자 유의사항은 무엇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한국 증시 양자컴퓨팅주 ‘장중 껑충’

18일 오전 10시 48분 기준, 양자컴퓨팅 테마주로 묶이는 종목들이 폭발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한국첨단소재: +29.94% (상한가, 4,340원)
  • 아이윈플러스: +29.91% (상한가)
  • 엑스게이트: +17.56%
  • 한울소재과학: +7.74% → 이후 +8.87%까지 확대
  • 케이씨에스: +7.62%
  • 아이씨티케이: +6.74%
  • 우리로: +4.08%

특히 한국첨단소재는 최근 중국 선전에서 열린 **‘CIOE 2025 전시회’**에 참가해 양자암호통신(QKD) 기술을 선보였다는 점이 부각되며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몰렸습니다.


2. 미국발 호재 – 아이온큐와 디웨이브 퀀텀

국내 양자컴퓨팅주의 급등은 전날 미국 증시에서 발생한 호재와 직결됩니다.

  • 아이온큐(IonQ): 미국 에너지부(DOE)와 양자기술 협력 MOU 체결 소식에 힘입어 5.11% 상승(65.44달러)
    • 최근 5일간 주가 +42%
    • 이달 들어서만 +50% 넘는 급등
    • 향후 자사 위성 플랫폼을 활용해 양자보안통신 실증 설계 계획 발표
  • 디웨이브 퀀텀(D-Wave Quantum): 일본에서 첫 양자컴퓨팅 컨퍼런스 발표 → 18.76% 급등(22.54달러)
    • 아태지역에서 기술 예약건수 급증 소식도 호재
  • 리게티 컴퓨팅(Rigetti Computing): +9.95% 상승(21.99달러)

즉, 미국발 양자컴퓨팅 모멘텀이 국내 증시로 그대로 확산된 것입니다.


3. 왜 양자컴퓨팅인가?

양자컴퓨팅은 기존 슈퍼컴퓨터로는 불가능한 연산을 가능케 하는 차세대 기술로, 보안·인공지능·의약품 개발·에너지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잠재력이 큽니다.

특히 양자암호(QKD)는 해킹이 사실상 불가능한 차세대 보안 기술로 꼽히며, 글로벌 기업·정부·국방 기관들이 앞다투어 투자하는 영역입니다. 이번에 한국 기업이 중국 전시회에서 선보인 것도 바로 양자보안통신 기술이었습니다.


4. 증권가 분석

하나증권 글로벌투자분석실은 이번 급등 배경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 아이온큐: DOE와 협력 후 양자보안통신 궤도 실증 설계 계획 발표
  • 디웨이브 퀀텀: 일본 양자컨퍼런스 발표와 아태지역 예약 급증
  • 한국 증시 관련주: 한울소재과학, 아이씨티케이, 한국첨단소재, 엣지파운드리, 엑스게이트, 케이씨에스, 우리로, 드림시큐리티 등

즉, 미국 기술주 급등 → 한국 테마주 동반 강세라는 전형적인 테마 장세 패턴이 나타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5. 투자 유의사항

양자컴퓨팅은 분명 미래 성장 산업이지만, 현 단계에서는 실질적인 매출·이익보다는 기술 가능성과 기대감에 의해 주가가 움직이는 단계입니다.

  • 장점: 장기적으로 산업 확대 가능성이 높음
  • 단점: 단기적으로는 과열과 급락 위험 공존
  • 과거 패턴: 미국에서 관련주 급등 → 한국 테마주 동반 상승 → 며칠 내 급락 사례 다수

따라서 투자자는 장기 성장성 vs 단기 변동성을 반드시 구분해 접근해야 합니다. 단순히 “테마가 떴다”는 이유로 무리하게 추격 매수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결론: 기대와 리스크가 공존하는 양자컴퓨팅

양자컴퓨팅은 IT·보안·에너지·의약 등 전방위적으로 혁신을 불러올 차세대 기술입니다. 이번 미국발 호재는 한국 시장에도 강한 불꽃을 일으켰지만, 이는 동시에 변동성이 매우 큰 투자 환경임을 의미합니다.

단기 급등 후 급락 가능성이 높으므로, 투자자라면 관심 종목을 관찰하면서 실적 기반 기업장기적 기술 경쟁력이 검증된 기업에 한정해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