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증권사들이 한화솔루션의 목표주가를 잇따라 하향 조정했지만, 중장기적인 성장 전망은 여전히 긍정적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단기적인 실적 부진은 불가피하지만, 미국 태양광 시장 수요 확대와 자체 밸류체인 강화에 따른 경쟁력이 향후 반등의 핵심 포인트로 꼽히고 있습니다.
📉 단기 실적 부진… 목표주가 줄줄이 하향
DB증권은 한화솔루션의 목표주가를 4만5000원 → 3만6000원으로 하향했습니다.
- 올해 3분기 영업손실은 1690억 원으로 예상돼, 컨센서스(1379억 원)보다 더 부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한국·말레이시아 공장에서의 셀 품질 문제와 미국 판매 부진이 주요 원인입니다.
- 또한 AMPC(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 감소까지 겹치며 신재생 부문 적자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NH투자증권 역시 목표주가를 4만5000원 → 3만8000원으로 16% 낮췄습니다. 다만 투자의견은 여전히 **‘매수’**를 유지했습니다.
🌞 4분기부터 실적 회복 기대
DB증권은 오는 4분기에는 ▲발전 프로젝트 매각 이익 ▲생산 정상화 ▲ASP(평균판매가격) 반등 등의 요인으로 신재생 영업이익이 1977억 원까지 회복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NH투자증권도 내년부터 본격적인 반등을 예상했습니다.
- 미국 내 유일한 통합 밸류체인 설비인 카터스빌 공장이 올해 4분기부터 양산에 돌입합니다.
- 내년부터 본격적인 판매와 함께 AMPC 수취 금액이 늘어나면서 실적 개선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 영업이익은 올해 1783억 원에서 내년 1조374억 원으로, 무려 482%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미국 태양광 시장, 한화솔루션에 기회
미국 내 태양광 모듈 수요는 50GW에 달하지만, 퍼스트솔라의 공급량은 13~15GW에 불과합니다. 인도·인도네시아·라오스발 공급 둔화, 중국산 모듈 규제 강화 등으로 공급 공백이 발생할 수 있어 한화솔루션에게는 기회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2028년 ITC(투자세액공제) 일몰 전 설치 집중 현상이 나타나면서 미국 태양광 수요는 중장기적으로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 정리 : 단기 조정, 장기 성장
- 단기적으로는 품질 문제와 수익성 악화로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음
-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밸류체인 구축, AMPC 확대, 탈중국 기조 강화로 실적 개선 가능성 높음
- 증권사들의 공통된 시각은 “단기 리스크는 있으나 장기 성장 방향성은 긍정적”입니다.
👉 투자자 입장에서는 당장의 목표가 하향 조정에 흔들리기보다, 미국 태양광 시장의 구조적 성장과 한화솔루션의 공급망 경쟁력 강화를 중점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반응형
'투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공격적 연구개발 투자와 반도체 호재…23조 테슬라 수주·HBM4 기대감 (0) | 2025.09.02 |
---|---|
현대자동차 주가 분석: 전기차 전환과 배당 매력 (0) | 2025.09.01 |
2025년 8월 29일 IT 주식 투자 분석: 애플·MS·엔비디아 어디로 갈까 (2) | 2025.08.30 |
주택시장 다시 뛸라” 2연속 금리 동결한 한국은행…연내 인하 전망은? (0) | 2025.08.29 |
삼성전자 ‘울고’ SK하이닉스 ‘웃고’…엔비디아 실적에 따른 반도체주의 온도차 (1) | 2025.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