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경제

아모레퍼시픽 2025년 반기보고서 분석

by moneytime123 2025. 9. 11.
반응형

국내 뷰티 대표 기업의 재무성과와 향후 과제

국내 화장품 업계를 대표하는 아모레퍼시픽이 2025년 반기보고서를 공시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는 2025년 상반기(1월~6월)까지의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가 담겨 있으며, 전년 동기 대비 실적 변화와 주요 재무 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연결 재무상태표(2025년 6월 30일 기준)

아모레퍼시픽의 2025년 반기말 총자산은 약 6조 7,645억 원으로, 전년 말(약 6조 7,835억 원) 대비 소폭 감소했습니다.

자산 현황

  • 유동자산: 1조 8,137억 원 (전기말 1조 7,348억 원 → 증가)
    • 현금 및 현금성자산: 6,492억 원 (전기말 4,515억 원 대비 대폭 증가)
    • 매출채권: 3,118억 원 (전기말 3,863억 원 대비 감소)
    • 재고자산: 4,639억 원 (전기말 4,978억 원 대비 소폭 감소)
  • 비유동자산: 4조 9,507억 원 (전기말 5조 487억 원 → 감소)
    • 유형자산: 2조 2,689억 원 (소폭 감소)
    • 무형자산: 1조 7,437억 원 (전기말 1조 7,739억 원 대비 감소)
    • 투자부동산: 5,896억 원 (소폭 감소)

부채 현황

  • 총부채: 1조 3,920억 원 (전기말 1조 4,574억 원 대비 감소)
  • 유동부채: 1조 431억 원 (전기말 1조 957억 원 대비 감소)
  • 비유동부채: 3,489억 원 (전기말 3,617억 원 대비 감소)

자본 현황

  • 지배기업 소유주 지분: 5조 3,046억 원 (전기말 5조 2,524억 원)
  • 비지배주주 지분: 678억 원 (전기말 736억 원)
  • 총자본: 5조 3,724억 원 (전기말 5조 3,260억 원 → 소폭 증가)

정리: 현금성 자산은 크게 늘었지만, 재고자산·무형자산 등이 줄어들며 총자산은 소폭 감소했습니다. 부채는 줄었지만, 자본은 오히려 증가해 재무 안정성이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연결 포괄손익계산서(2025년 상반기)

구분2025년 상반기2024년 상반기증감 추이
매출액 2조 725억 원 1조 8,162억 원 증가
영업이익 1,913억 원 768억 원 흑자폭 확대
반기순이익 1,565억 원 6,107억 원 큰 폭 감소
매출총이익 1조 4,991억 원 1조 2,839억 원 증가
판매비와 관리비 1조 3,077억 원 1조 2,070억 원 증가
주당순이익(보통주, 누적) 2,125원 8,847원 감소
  •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도 큰 폭으로 개선되었습니다.
  • 그러나 순이익은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는데, 이는 금융수익 및 영업외손익의 축소, 해외사업 환산손익 악화 등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 연결 자본변동표

  • 2025년 상반기 지배기업 소유주 지분 합계: 5조 3,046억 원 (전기말 5조 2,524억 원에서 증가)
  • 이익잉여금: 4조 6,708억 원으로 증가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417억 원(전기말 1,192억 원에서 감소)
  • 자기주식 처분으로 133억 원 증가, 반면 **배당금 지급(776억 원)**은 자본 감소 요인으로 작용

➡ 영업이익 개선에도 불구하고, 해외환산손실과 배당금 지급이 자본 변동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 연결 현금흐름표 (2025년 상반기)

  • 영업활동 현금흐름: 3,923억 원 (전년 동기 2,287억 원 → 큰 폭 증가)
  • 투자활동 현금흐름: –207억 원 (전년 동기 –1조 9,128억 원 → 현저히 개선)
  • 재무활동 현금흐름: –1,612억 원 (차입금 상환·배당금 지급 등 영향)
  • 현금 및 현금성자산 증가: +1,976억 원 (전년 동기 –688억 원 대비 큰 폭 반등)

핵심 포인트: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크게 늘어나며 현금 유동성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었습니다. 이는 실적 개선과 함께 회사의 단기적 자금 운용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 종합 분석 및 시사점

  • 긍정적 요인
    • 매출 증가 및 영업이익 개선
    • 현금흐름 흑자 전환 → 재무적 안정성 확보
    • 자본총계 증가로 재무 건전성 유지
  • 우려 요인
    • 순이익의 큰 폭 감소 (전년 대비 축소)
    • 해외 사업 환산손익 손실 발생
    • 중국 시장 부진 및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지속

✅ 결론

아모레퍼시픽의 2025년 상반기 성적표는 매출 성장과 영업이익 개선이라는 긍정적 신호와 함께, 순이익 급감과 해외사업 리스크라는 과제를 동시에 보여줍니다. 그러나 현금 유동성이 개선되고, 자본 안정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점은 향후 하반기 실적 개선의 발판이 될 수 있습니다.

향후 아모레퍼시픽이 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 리더십을 강화하고, 동시에 중국 시장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