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경제

애경산업 인수전, 태광산업 vs 앵커PE 2파전 본격화

by moneytime123 2025. 8. 26.
반응형

국내 대표 생활소비재 기업인 애경산업이 매각 본입찰에 들어가면서, 인수전은 사실상 **태광산업과 앵커에쿼티파트너스(앵커PE)**의 양자 대결로 압축되었습니다. 업계에서는 이번 인수전이 단순한 지분 거래를 넘어 기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신사업 확장의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1. 인수전 개요

  • 매각 지분: 63.38% (AK홀딩스·애경자산관리 및 특수관계인 보유)
  • 매각 자문사: 삼정KPMG
  • 일정: 2025년 8월 22일 본입찰 실시 → 내달 초 우선협상대상자 확정 → 실사 및 본계약 협상 → 연내 거래 종결 목표

예비입찰에는 태광산업 컨소시엄(티투PE·유안타인베스트먼트 포함), 앵커PE, 폴캐피탈코리아가 참여했으나, 실제 경쟁은 태광산업 vs 앵커PE 구도로 굳어졌습니다.


2. 태광산업의 전략

태광산업은 이번 인수를 통해 석유화학·섬유 중심 구조에서 생활소비재 사업으로 확장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 최근 △화장품 △에너지 △부동산 개발 등 신성장 사업에 약 1조5000억 원 투자 계획 발표
  • 자회사 티투PE·유안타인베스트먼트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 참여
  • 기존 석유화학 사업의 장기 불황으로 중국 사업을 정리하고, 국내외 자산 인수에 속도
  • 계열사 흥국생명을 통한 이지스자산운용 인수전 참여, 남대문 메리어트 호텔 인수 추진 중

👉 애경산업을 품을 경우, 화장품·생활용품 포트폴리오 확보로 소비재 분야에서 입지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3. 앵커PE의 전략

앵커PE는 사모펀드(PEF) 업계의 대표적 플레이어로, 탄탄한 자금력을 기반으로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 2021년 조성한 4호 블라인드 펀드(약 2조 원) 중 아직 1조 원 규모 미소진 자금 보유
  • 투자 기간 종료를 앞두고 신규 인수에 속도를 내는 상황
  • 자금력과 투자 경험에서 강점 → 가격 경쟁에서 유리할 수 있음

👉 앵커PE가 최종 인수 시, 애경산업은 기업가치 제고를 통한 재매각(엑시트) 전략이 핵심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4. 애경산업 현황

  • 주력 사업: 화장품, 생활용품
  • 2025년 2분기 실적:
    • 매출: 1,713억 원 (전년 대비 -1.3%)
    • 영업이익: 112억 원 (전년 대비 -36.1%)

👉 실적 부진 속에서 모회사 애경그룹은 재무 부담 해소를 위해 구조조정을 추진 중이며, 애경산업 매각은 그룹 재편의 핵심 카드로 꼽힙니다.


5. 향후 전망

  • 인수전은 가격 경쟁이 최대 변수 → 자금력과 장기적 비전이 승부 가를 전망
  • 태광산업은 신사업 다각화 목적, 앵커PE는 투자 수익 극대화 목적이 뚜렷
  • 최종 인수자가 누구든, 애경산업은 사업 체질 개선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필요

결론

애경산업 인수전은 단순한 기업 매각이 아니라,

  • 태광산업에게는 신성장 동력 확보의 기회이자,
  • 앵커PE에게는 대형 투자 포트폴리오 완성을 위한 승부처라 할 수 있습니다.

연내 거래 종결이 목표인 만큼, 향후 협상 과정과 최종 인수 주체가 국내 화장품·생활용품 업계 지형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