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 제1금융권 · 제2금융권 · 제3금융권 차이와 특징

by moneytime123 2025. 9. 7.
반응형

은행, 저축은행, 캐피탈, 대부업체… 금융권은 이렇게 다양한데, 보통 제1금융권 / 제2금융권 / 제3금융권으로 나눠 부릅니다. 하지만 각각의 차이를 정확히 아는 사람은 의외로 많지 않죠. 오늘은 이 구분을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제1금융권: 은행 중심의 금융기관

  • 대상 기관: 시중은행, 지방은행, 외국계 은행, 인터넷은행(K뱅크, 카카오뱅크 등)
  • 특징:
    • 국가의 강력한 규제와 감독(금융감독원·한국은행)
    • 예금자보호법 적용 (1인당 최대 1억원 보장)
    • 대출 금리 낮음, 신용등급이 중요
  • 장점: 안정성·신뢰도가 높음, 금리가 낮아 상환 부담 적음
  • 단점: 대출 심사가 엄격해 신용도가 낮으면 이용이 어려움

👉 예시: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카카오뱅크


🏢 제2금융권: 비은행권 금융기관

  • 대상 기관: 저축은행, 캐피탈사, 보험사, 카드사, 새마을금고, 신협, 상호저축은행 등
  • 특징:
    • 은행보다 규제는 완화되지만 여전히 법적 보호와 감독 적용
    • 대출 금리는 제1금융권보다 높음
    • 대출 심사가 은행보다 유연해 신용등급이 낮아도 이용 가능
  • 장점: 대출 문턱이 낮고, 상품 종류가 다양
  • 단점: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아 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음

👉 예시: SBI저축은행, OK저축은행, 현대캐피탈, 삼성카드, 한화생명보험


💳 제3금융권: 제도권 밖 금융기관

  • 대상 기관: 등록 대부업체, 사금융, 일부 온라인 P2P 대출업체
  • 특징:
    • 금융당국의 기본 관리·감독은 있으나, 보호 장치는 제한적
    • 대출 금리가 매우 높음 (법정 최고금리 20% 이내)
    • 신용등급·소득 요건이 거의 없어 누구나 이용 가능
  • 장점: 급할 때 빠른 자금 조달 가능
  • 단점: 금리·수수료 부담이 크고, 상환 리스크 높음

👉 예시: 러시앤캐시, 산와머니 등 등록 대부업체


⚖️ 제1·2·3금융권 비교 한눈에 보기

구분대표 기관금리 수준대출 심사안정성
제1금융권 은행(국민·신한·카카오뱅크 등) 낮음 매우 엄격 매우 높음
제2금융권 저축은행, 캐피탈, 카드사, 보험사 중간~높음 비교적 완화 중간
제3금융권 대부업체, 사금융 매우 높음 거의 없음 낮음

📌 이용 시 유의사항

  1. 가능하면 제1금융권 이용 → 낮은 금리와 예금자보호 혜택
  2. 신용등급·상환능력 고려 후 제2금융권 선택
  3. 제3금융권은 최후의 수단으로만 접근 (고금리 부담 주의)
  4. 대출 전에는 반드시 연이자율, 중도상환 수수료, 연체 시 불이익 확인

✅ 정리

  • 제1금융권: 안정적이고 금리 낮지만, 문턱이 높음
  • 제2금융권: 문턱은 낮지만 금리가 높음
  • 제3금융권: 금리가 매우 높아 위험, 긴급 상황에서만 이용

👉 결론적으로, 대출이 필요하다면 제1 → 제2 → 제3 금융권 순서로 접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