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경제

📉 시중은행, 1년 새 1300명 인력 감축·126곳 점포 축소…디지털 전환 가속화

by moneytime123 2025. 9. 8.
반응형

국내 4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이 빠른 디지털 전환비용 절감 전략에 따라 외형을 축소하고 있습니다. 지난 1년 동안 인력 1,300여 명, 영업점 126곳이 줄어들며 오프라인 존재감은 점점 약해지고 있습니다.


👩‍💼 인력·점포 모두 감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2025년 6월 말 기준 4대 은행 임직원 수는 5만3794명으로 전년보다 1272명(–2.3%) 줄었습니다.

  • 신한은행: –532명 (4.1%↓, 가장 큰 감소)
  • 국민은행: –473명 (3.0%↓)
  • 우리은행: –180명 (1.3%↓)
  • 하나은행: –87명 (0.7%↓)

국내 영업점 수 역시 2817곳 → 2691곳, 126곳(–4.5%) 줄었습니다.

  • 신한은행: –63곳 (8.8%↓)
  • 우리은행: –44곳 (6.3%↓)
  • 국민은행: –26곳 (3.3%↓)
  • 하나은행: +7곳 (1.2%↑, 유일한 증가)

👉 특히 신한·국민은행이 인력과 점포를 동시에 줄이며 강도 높은 효율화를 단행했습니다.


📱 디지털 금융이 대세

은행 외형 축소의 핵심 이유는 모바일·인터넷 뱅킹 확산입니다.

  • 대면 거래 비중: 2021년 1분기 6.5% → 2025년 1분기 4.2% (2.3%p↓)
  • 인터넷 뱅킹 비중: 같은 기간 70.2% → 84.7% (14.5%p↑)

즉, 금융소비자 대부분이 비대면 채널을 이용하면서 은행 입장에서는 고정비용이 큰 점포를 줄이는 게 합리적인 선택이 된 것이죠.


⚠️ 문제는 ‘금융 접근성’

하지만 점포 축소는 고령층·농어촌 지역 주민에게 불편을 초래합니다.

  • 여전히 창구 거래 의존도가 높은 시니어 고객들
  • 일부 지역에서는 한 곳의 은행에 고객이 몰려 1시간 이상 대기하는 경우 발생

은행들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 시니어 전용 점포
  • 이동형 점포(찾아가는 금융 서비스)
  • 복수 은행 공동점포
  • 운영시간 확대 점포

등을 시도하고 있지만 체감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 앞으로의 과제

  • 은행권: 공동점포 확대, 비대면 상담 고도화 등으로 공백을 최소화
  • 금융당국: 우체국 은행 대리업, 디지털 금융 교육 지원 등 취약계층 보호 강화

다만, 비용 절감·디지털 전략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기 때문에 오프라인 영업망은 중장기적으로 계속 축소될 전망입니다.

👉 결국 관건은 “수익성 vs 사회적 책임”. 은행들이 이 두 가지 사이에서 어떤 균형을 찾을지가 향후 금융권의 과제가 될 것입니다.


💡 정리:

  • 1년 새 은행 직원 1,300명·점포 126곳 감소
  • 디지털 금융 확산으로 대면 거래 비중 급감
  • 고령층·농촌 지역 금융 접근성 악화 우려
  • 은행·당국, 공동점포·이동점포·교육 지원 등 보완책 추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