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물류업계는 ‘필환경(必環境)’ 기조 속에서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정부가 탄소중립산업법을 추진하고, 기업이 ESG 경영을 강조하면서 택배사들은 전기차 전환, 친환경 포장재 도입, ESG 인증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비용 부담이 커 업계 전체가 압박을 받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 전기차·친환경 포장재 도입 가속화
- CJ대한통운: 2050년 100% 전환 목표, 전기차 2000대 운영
- 한진: 2040년 97% 전환율 달성 목표
- 롯데글로벌로지스: 2030년 100% 전환 계획, 업계에서 가장 빠름
포장재 측면에서도 다회용 박스, 종이·생분해성 소재 완충재 등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환경적 가치는 크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회수 비용·물류 과정의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업계의 현실적 부담
- 높은 초기 비용
- 전기차 한 대당 수천만 원의 교체비용
- 충전 인프라 구축·배터리 교체 등 부대비용 발생
- 저가 경쟁 속 수익성 악화
- 택배 단가는 수년째 하락세
- ‘착한 택배’가 오히려 ‘적자 택배’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
- 소비자 요구와 괴리
- 소비자는 여전히 ‘빠르고 저렴한 배송’을 최우선
- 친환경 배송은 단가 상승·효율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 큼
🌍 정책 방향과 한계
정부는 보조금 지급, 인프라 지원을 통해 친환경 전환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대기업은 감당 가능하더라도 지입기사·영세 물류업체에는 과중한 부담”이라는 목소리가 큽니다.
- 보조금이 있더라도 전기차 원가 부담은 여전히 큼
- 다회용 포장재 회수 과정에서 추가 운송비 발생
- 충전소 부족, 교체 주기 비용 등 구조적 한계 존재
🔑 전문가 제언
한양대 강경우 교수는 “자동차나 포장재 교체만으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라, 보관·관리·작업 프로세스 전체가 개편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 규제와 보조금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중장기 계획 속 단계적 전환과 영세업체 지원 모델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해외처럼 인센티브 + 규제가 동시에 작동해야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 결론
물류업계의 친환경 전환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입니다. 다만 지금처럼 비용 전가 구조가 고착화된다면 기업과 기사, 소비자 모두에게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 정부: 중소·영세업체를 고려한 세부 지원책 마련
- 기업: 단기적 비용보다 장기적 경쟁력 강화 관점에서 투자
- 소비자: 빠르고 저렴한 배송에서 → 지속가능한 배송 가치로 인식 전환
이 세 가지가 맞물릴 때 비로소 ‘착한 택배’가 ‘적자 택배’가 아닌 지속 가능한 물류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투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재 없인 미래도 없다: 삼성·SK·LG의 청년 채용 전략 (0) | 2025.09.25 |
---|---|
🍴 식품업계, 새로운 성장 엔진 달고 달린다 (0) | 2025.09.25 |
펀드로 몰린 1300조 자금, 증시 활황의 밑거름 되다 (0) | 2025.09.24 |
노란봉투법, 방어보다 예방과 협력이 핵심 전략 (0) | 2025.09.24 |
연준, 기준금리 0.25%p 인하…연내 추가 인하 가능성은? (0) | 2025.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