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경제

원·달러 환율 1400원대 고공행진…한미 협상 변수와 주간 전망

by moneytime123 2025. 9. 28.
반응형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에서 움직이며 고공비행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미 투자·환율 협상 불확실성과 미국 고용지표 발표를 앞둔 경계 심리가 겹치면서 환율 상승 압력이 지속되는 모습입니다.


📈 지난주 환율 흐름

  • 원·달러 환율 범위: 1390원 ~ 1414원
  • 9월 26일 기준 종가: 1409.7원 (직전주 대비 +12.7원)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대미 투자 선불” 발언 이후 환율은 1410원선을 터치하며 변동성을 키웠습니다.


🤝 한미 협상 상황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방미 일정을 마치고 귀국하면서,

“미국과 환율 협상은 이번에 협의가 완료됐으며,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협상 과정에서 통화스와프 필요성과 한국 외환시장 상황을 설명
  • 미국 베선트 재무장관은 “한국 외환시장 상황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언급

👉 다만, 협상이 타결되더라도 투자금이 미국으로 흘러갈 경우 원화 약세가 더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 전문가 분석

  • 김진욱(씨티): “협상이 미국 투자 확대 쪽으로 정리되면 오히려 환율이 더 오를 수 있다. 1450원도 큰 무리는 아닌 수준.”
  • 박성우(DB증권): “원화를 사려는 수요가 거의 없는 구조적 상황. 당분간 1400원 지지, 상단은 1450원까지 열어둬야.”
  • 박상현(iM증권): “연준이 연내 두 번 금리 인하할 가능성이 있어, 연말엔 환율이 다시 1300원 중후반으로 내려갈 것.”
  • 이진경(신한투자증권): “강달러 압력은 일부 완화하겠지만, 무역협상 불확실성과 수출 둔화로 상방 요인은 여전히 존재.”

🔮 이번 주 전망

  1. 미국 경제지표
    • 9월 ISM 제조업 지수
    • 9월 고용보고서(비농업 고용·실업률)

👉 고용 지표가 부진할 경우 금리 인하 기대가 커져 달러 약세 → 환율 안정화 가능성 존재

  1. 국내 요인
    • 한미 협상 결과 발표
    • 9월 수출 지표 공개

👉 수출 둔화와 해외주식 순매수 지속은 원화 약세 요인


✅ 정리

  • 단기적으로는 1400원대 등락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며,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 한 1450원 상단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 다만 미국 금리 인하 기조가 유지된다면, 연말에는 환율이 1300원대 후반으로 안정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 투자자와 기업은 단기 환율 변동성에 대비하되, 연말까지는 점진적인 안정화 흐름 가능성도 고려해야 할 시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