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경제

코스피 3390선 붕괴…지금 팔아야 할까? [증시 전망]

by moneytime123 2025. 9. 28.
반응형

지난주 코스피가 3400선을 내주며 3300대로 떨어졌습니다.
관세 협상 불확실성과 미국 금리 인하 기대 약화가 겹치면서 단기 급락세를 보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금 주식을 팔고 시장을 떠나야 할까요?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보았습니다.


📉 코스피 급락 현황

  • 9월 26일 코스피: 3386.05 마감(-2.45%)
  • 코스닥: 835.19 마감(-2.03%)
  • 8월 1일 이후 두 달 만에 가장 큰 낙폭
  • 장중 한때 3.04% 하락하며 3300대 진입

이번 하락으로 코스피는 3400선을 돌파한 지 불과 9거래일 만에 다시 3300대로 후퇴했습니다.


🌍 하락 배경

  1. 미국 GDP 확정치
    • 2분기 GDP 증가율: 3.8% (잠정치 3.3%보다 높음)
    • 경기 호조로 금리 인하 기대 약화 → 글로벌 증시 충격
  2. 파월 의장 발언 & AI 버블 논란
    • “주식이 고평가됐다”는 발언과 AI 투자 과열 논란이 투자심리 위축 요인
  3. 트럼프 대통령 발언
    • 한국의 대미 투자 3,500억 달러를 “선불”로 요구
    • 외환보유액(4,163억 달러)의 84%에 해당 → 외화 유출 우려 심화
  4. 환율 불안
    • 원·달러 환율: 1412.4원 마감(+11.8원)
    • 외국인 현물(-6,607억 원), 선물(-3,284억 원) 동반 매도

🏭 업종별 주가 흐름

  • 반도체주: 삼성전자(-3.25%), SK하이닉스(-5.61%) 등 낙폭 확대
  • 조선·방산·원전: HJ중공업(-8.57%), 삼성중공업(-5.01%), 한화오션(-2.37%) 등 하락
  • 바이오주: 삼천당제약(-4.42%) 약세
  • 인터넷 플랫폼: 카카오(-6.17%) 톡 개편 실망감 반영

🧐 전문가 의견

  •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
  • “이번 조정은 단기 랠리에 따른 피로감 해소 과정. 추세적 하락은 아님. 연휴 전 변동성은 불가피하나, 현금 비중 과도 확대는 바람직하지 않다.”
  •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
  • “관세 협상 난항 우려가 선반영된 조정. 협상이 결렬되고 미국이 고관세를 강행하면 장기 약세 가능성도 있으나, APEC 회의·투자 확대 등을 고려할 때 극단적 시나리오는 낮다.”
    “추석 이후 협상 진전과 대외 불확실성 완화가 기대된다. 주가 조정 시 AI·로봇·반도체 등 구조적 수혜 업종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

✅ 정리 및 투자 전략

  • 단기 조정은 관세·환율 불확실성과 금리 기대 약화가 복합 작용한 결과
  • 그러나 추세적 하락보다는 단기 피로감 해소 국면에 가깝다는 분석 우세
  • 향후 관세 협상 진전, 연준의 정책 전환, 반도체 업황 개선, 글로벌 AI 투자 확대가 증시 하방을 지지할 전망

👉 따라서 현 시점에서 무리한 매도보다는 업종별 옥석 가리기 전략이 필요합니다.
특히 AI 소프트웨어·로봇·반도체 등 구조적 성장 업종은 조정 시 매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