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경제

현대차, 세계 최초 ‘미드망간 배터리’ 전기차 탑재 검토

by moneytime123 2025. 8. 28.
반응형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전기차 시장 판도를 흔들 새로운 배터리 기술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미드망간(Mid-Mn) 배터리’**를 자사 전기차에 탑재하는 방안을 본격 검토하고 있는 것입니다.


1. 왜 미드망간 배터리인가?

전기차 원가 구조에서 **배터리 비중은 약 40%**에 달합니다. 따라서 배터리 가격과 성능은 전기차 경쟁력의 핵심입니다.
현재 글로벌 시장은 중국의 LFP(리튬·인산·철) 배터리가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보급형 전기차를 장악하고 있습니다.

이에 현대차는 LFP를 대체할 차세대 저가형 배터리로 미드망간을 선택해 성능과 원가 절감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 합니다.


2. 세계 최초 개발, 한양대 연구진의 성과

미드망간 배터리는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선양국 교수 연구팀이 4년간 연구 끝에 세계 최초로 개발한 기술입니다.

  • 배터리 양극재에서 망간 비중을 45% 이상 높여 원가 경쟁력 확보
  • 세계적 권위 학술지 네이처 에너지(Nature Energy) 게재 (2025년 8월)
  • 기존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 라인에서 생산 가능 → 빠른 상용화 가능

선 교수는 “미드망간은 기존에 없던 원천 기술로, 리튬 망간 리치(LMR) 배터리의 단점을 보완한 혁신적 결과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3. 미드망간 배터리의 경쟁력

구분LFP 배터리하이니켈 배터리미드망간 배터리
가격 저렴 상대적으로 고가 LFP 수준 (저렴)
에너지 밀도 기준 높음 LFP 대비 40~65% ↑
원가 낮음 높음 하이니켈 대비 30~40% ↓
안정성 보통 우수 안정성 확보
양산성 이미 상용화 상용화 기존 NCM 라인 활용 가능

즉, LFP보다 성능이 좋고, 하이니켈보다 싸다는 점에서 전기차 보급 확대의 게임 체인저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4. 현대차의 전략적 활용

현대차는 현재 미드망간 샘플을 확보해 성능 테스트 중입니다. 상용화가 성공하면 보급형 EV부터 시작해 로봇·UAM(도심항공교통) 등 차세대 모빌리티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 유럽연합이 중국산 배터리 의존도를 낮추려는 정책을 펼치고 있어, 미드망간 배터리는 LFP 대체재로서 전략적 가치가 매우 큽니다.


5. 시장 파급 효과 전망

  • 전기차 대중화 가속: 배터리 가격 하락으로 보급형 전기차 출시 확대
  • 한국 배터리 산업 도약: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 주도
  • 글로벌 전기차 경쟁력 강화: 현대차가 새로운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초격차 전략’을 펼칠 가능성

마무리

현대차의 ‘미드망간 배터리’ 탑재 검토는 단순한 신기술 도입을 넘어, 전기차 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변곡점이 될 수 있습니다. 빠르면 내년부터 상용화가 가능하다는 전망 속에, 현대차가 글로벌 EV 시장에서 새로운 경쟁 우위를 확보할지 주목됩니다.

반응형